마케팅 입장에서 제품을 바라볼때 어떤 관점으로 봐야할까요?
최근 읽은 책을 통해 제품의 등급이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더 자세히 알고 싶어 찾아 보았습니다.
오늘의 경제 상식은 필립 코틀러 박사의 제품의 등급입니다.
필립 코틀러 박사는 경영학자로서, 제품을 세 가지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품의 핵심, 실체, 그리고 부가 기능을 포함한 내용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제품의 등급 구분
핵심 제품 (Core Product)
실체 제품 (Actual Product)
부가 제품 (Augmented Product)
핵심 제품 (Core Product)
핵심 제품은 제품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 또는 이익을 이야기합니다. 이것은 제품의 기본적인 목적을 설명해주며, 소비자가 구매하는 이유입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어떤 의사 결정을 내릴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기능 및 이익 핵심 제품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제품 카테고리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취급량과 환승 속도를 제공하는 자동차와 같이 한 제품 카테고리는 전철에 대한 전통적인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실체 제품 (Actual Product)
실체 제품은 소비자가 실제로 보고 만지며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실체 제품은 브랜딩, 디자인, 기능, 품질 등의 실질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하며, 이러한 측면들은 제품의 경쟁력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브랜딩
브랜딩은 제품의 느낌, 인식 및 약속을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품의 이름, 로고, 슬로건, 포장, 광고 등 브랜드 요소를 포함하여 독특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상품의 브랜딩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해야 합니다.
디자인 및 품질
디자인은 제품의 외관, 형태, 재료, 색상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시각적으로 소비자에게 눈길을 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품의 품질은 제품의 내구성, 성능, 안정성 등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 느끼는 만족도에 영향을 줍니다.
부가 제품 (Augmented Product)
부가 제품은 실체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추가적인 이점이나 기능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은 제품과 관련된 서비스, 보증, 배송 방식, 판매 후 지원 등이 포함됩니다.
서비스
부가 제품에 포함되는 서비스는 제품의 설치, 유지 보수, 수리 서비스 등을 말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소비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며,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이고 구매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증 및 판매 후 지원
제품에 대한 보증은 소비자에게 제품의 품질과 성능에 대한 기업의 확신을 나타냅니다. 판매 후 지원은 문제 해결, 사후 서비스, 사용자 교육 등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기대와 만족도를 충족하여 구매 결정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코틀러 박사의 제품 등급 구분은 기업들이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핵심 가치, 실질적인 제품 구성 요소, 그리고 부가적인 가치를 고려하여 자신들의 제품을 최적화하고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됩니다.
정리
필립 코틀러 박사의 제품 등급 구분은 기업들에게 제품 개발 및 판매에 있어 중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핵심 제품, 실체 제품, 부가 제품의 구분을 통해 기업들은 소비자의 기대와 만족도를 충족시키면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소비자의 인식, 경험, 및 충성도를 개선하며, 결국 기업의 성장과 성공에 기여하게 됩니다.
사업이나 마케팅쪽에 종사하거나 관심이 있으시분들은 코틀러 박사의 제품 등급 구분을 충실히 따르며, 지속적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시각을 갖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금융 경제 정치 과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2차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신청방법 및 필독 사항 공지 (93) | 2023.08.25 |
---|---|
찬드라얀 3호 : 인도의 달 탐사 임무 (72) | 2023.08.25 |
취준생을 위한 정부 제도,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방법 (4) | 2023.08.13 |
국민은행 온국민 건강적금: 금융상품을 통한 건강과 금융의 두 마리 토끼 잡기 (0) | 2023.07.29 |
사회 초년생 신용등급 향상을 위한 신용관리법 (0) | 2023.07.25 |